홈페이지 제작 관련 용어 모음.zip

홈페이지 제작 관련 용어 모음.zip

1. 시작하며

홈페이지 제작을 계획 중이시거나 이미 진행하고 계신가요?

홈페이지 제작 과정에서 익숙하지 않은 용어들이 등장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용어들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으면 제작 과정이 매끄러워지고, 전문가와의 협업에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홈페이지 제작 시 알아두면 좋은 11가지 핵심 용어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2. 홈페이지 제작 시 알아두면 좋은 용어 11가지

  1. 웹 빌더 (Website Builder)


    웹 빌더는 별도의 코딩이나 디자인 기술 없이도 쉽게 홈페이지를 제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사용자는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원하는 레이아웃을 구성할 수 있으며, 템플릿을 활용해 신속하게 사이트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웹 빌더로는 아임웹(imweb), 워드프레스(wordpress), 윅스(wix) 등이 있으며, 간편한 유지보수와 빠른 구축이 장점입니다.


    하지만 복잡한 기능 구현에는 제한이 있을 수 있으므로, 필요한 기능을 미리 검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아임웹 디자인모드
    아임웹 디자인모드

  3. 도메인 (Domain)


    도메인은 웹사이트의 고유한 주소이며, 사용자가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입력하여 홈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https://naver.com'에서 'naver.com'이 도메인입니다.


    도메인은 특정 기업에서 구매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연간 단위로 사용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대표적인 도메인 등록 업체로는 가비아, 후이즈, 카페24 등이 있습니다.

  4. 가비아
    가비아

  5. 호스팅 (Hosting)


    호스팅은 홈페이지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호스팅 서버는 웹사이트의 이미지, 동영상, HTML, CSS 파일 등을 보관하며, 안정적인 속도와 보안이 중요한 요소입니다.


  6. 대시보드 (Dashboard)


    대시보드는 웹사이트의 운영 현황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관리 화면입니다.
    이를 통해 방문자 수, 페이지뷰, 가입자 현황, 판매 실적 등의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임웹의 대시보드에서는 매출 통계, 유입 경로 분석, 고객 문의 관리 등을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7. 아임웹 관리자 페이지 대시보드
    아임웹 관리자 페이지 대시보드
  8. PG사 (Payment Gateway Provider)


    PG사는 온라인 결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업체로, 신용카드, 계좌이체, 휴대폰 결제 등을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대표적인 PG사로는 KG 이니시스, NHN KCP, 토스페이먼츠 등이 있습니다.


    PG사를 이용하면 개별 카드사와 직접 계약할 필요 없이, 하나의 계정을 통해 다양한 결제 수단을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9. KG 이니시스 전자결제 서비스
    출처: KG 이니시스
  10. SSL (Secure Socket Layer)


    SSL은 웹사이트와 사용자 간의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보안을 강화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고객의 개인정보나 결제 정보가 안전하게 보호되며, 검색엔진에서도 신뢰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SSL이 적용된 웹사이트는 URL이 'https://'로 시작하며, 브라우저 주소창에 자물쇠 아이콘이 표시됩니다.

  11. SSL
    SSL이 적용된 웹사이트
  12. 검색엔진 최적화 (SEO: Search Engine Optimization)


    SEO는 구글, 네이버와 같은 검색엔진에서 웹사이트가 상위에 노출될 수 있도록 최적화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SEO 작업에는 키워드 최적화, 메타 태그 삽입, 페이지 속도 최적화 등이 포함됩니다.


    효과적인 SEO를 통해 더 많은 사용자에게 도달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콘텐츠 관리를 통해 순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3. 푸터 (Footer)


    푸터는 웹사이트의 최하단 영역을 의미하며, 보통 회사 정보, 연락처, 개인정보 처리방침 등의 내용을 포함합니다.
    푸터는 사이트의 신뢰도를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링크 네비게이션의 기능도 합니다.

  14. 웹사이트 푸터

  15. 파비콘 (Favicon)


    파비콘은 웹사이트를 나타내는 작은 아이콘으로, 브라우저 탭, 즐겨찾기 목록 등에 표시됩니다.
    웹사이트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강조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16. 네이버 파비콘
    네이버 파비콘
  17. 반응형 홈페이지 (Responsive Web Design)


    반응형 웹사이트는 사용자의 기기에 맞춰 자동으로 레이아웃이 조정되는 홈페이지를 의미합니다.
    PC, 스마트폰, 태블릿 등 다양한 화면 크기에 최적화되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8. 데이터베이스 (DB)


    데이터베이스는 웹사이트에서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회원 가입 정보, 주문 내역, 게시물 등의 데이터가 체계적으로 저장되며, 필요할 때 불러와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마무리

홈페이지 제작 시 알아두면 좋은 핵심 용어 11가지를 소개해 드렸습니다.
이 11가지 용어만 숙지하셔도 홈페이지 제작 시 무리 없이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홈페이지 제작 과정 A to Z

홈페이지 제작 과정 A to Z | 아임웹 홈페이지 지식 저장소, 웹카이브
홈페이지 제작이 처음이라면 단계별 제작 과정을 확인해 보세요. 사전 상담부터 디자인, 개발, 도메인 설정까지 홈페이지 구축의 모든 과정을 상세히 알려드립니다.

* 홈페이지 제작 전 준비하면 좋은 4가지

홈페이지 제작 전 준비하면 좋은 4가지 | 아임웹 홈페이지 지식 저장소, 웹카이브
홈페이지 제작을 더욱 수월하게! 홈페이지 제작 전 미리 준비하면 좋은 4가지 사항을 알아보고, 웹사이트의 완성도를 높여보세요.

게시글 더보기

고스트 프로 블로그 장점 3가지

고스트 프로(Ghost Pro) 블로그 장점 3가지

1. 시작하며 웹카이브는 고스트 프로(Ghost Pro)로 제작된 블로그입니다. 현재 고스트 프로의 Creator 플랜을 구독 중이며, 2025년 1월 첫 포스팅을 시작으로 홈페이지와 아임웹 관련 콘텐츠를 업로드해 왔습니다. 웹카이브를 구독해 주신 구독자분들께 뉴스레터 발행 등 최대한 고스트 프로에 내장된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스트 프로를 사용해 보며

구글 파비콘 노출 방법

구글 파비콘 노출 방법 (이미지 크기 변경, 서치콘솔 재크롤링)

1. 시작하며 고스트(Ghost)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구글, 네이버, 다음에 모두 사이트를 등록했습니다. 그런데 네이버에서는 파비콘이 잘 노출되지만, 구글에서는 파비콘이 노출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파비콘이 구글에 노출되지 않을 때 확인해야 할 사항과, 실제로 해결했던 과정을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고스트(Ghost) 블로그뿐만 아니라 홈페이지의 파비콘이 구글에 노출이 안 되고 있다면 아래

아임웹 자주 묻는 질문 게시판 디자인 커스텀 (코드)

아임웹 자주 묻는 질문 게시판 디자인 커스텀 (코드)

1. 시작하며 홈페이지를 제작할 때 자주 묻는 질문(FAQ) 게시판은 방문자의 문의를 줄이고, 빠른 정보 제공을 도와주는 핵심 요소입니다. 특히 예약·상담·구매 전 궁금증이 많은 페이지일수록 FAQ 게시판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임웹에서는 아코디언 게시판 기능을 활용해 쉽게 FAQ 게시판을 만들 수 있지만, 기본 디자인은 다소 아쉽게 느껴질

아임웹 입력폼 디자인 커스텀 (코드)

아임웹 입력폼 디자인 커스텀 (코드)

1. 시작하며 아임웹 홈페이지를 제작할 때 입력폼 위젯은 많이 사용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간단한 문의 양식부터 상담 신청, 예약 접수까지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하지만 아임웹 디자인 모드에서 제공하는 기본 설정만으로는 세세한 디자인 설정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사이트 전체 분위기와 입력폼의 디자인이 어울리지 않으면 통일감이 떨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